금 투자 ETF는 국내, 미국 증시에서 모두 매입하실 수 있습니다. 국내, 미국 증시 대표적인 금 투자 ETF로는 KODEX 골드선물(H), GLD가 있습니다. 그리고 금 가격의 변동과 금리의 관계, 금 투자 방법과 세금을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.
금의 특징과 금 투자
금은 은과 함께 귀금속, 산업계에서도 쓰입니다. 그러나 금은 은과 다르게 자산으로서의 역할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 금은 대체적으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가치 하락의 헤지(hedge) 수단으로써 탁월한 자산입니다. 또한 지정학적 충돌, 경제 불안 등 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일 때 안전 자산으로서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. 특히 최근 불거지고 있는 스테그플레이션의 탁월한 헤지 수단으로도 엄청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금 투자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
금 가격이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
금의 가격은 대체적으로 저금리 상황, 경기 부양으로 막대한 통화가 풀릴 때 상승합니다. 통화가 시장에 풀리게 되면 통화가치는 대체적으로 하락하게 됩니다. 따라서 금의 가치를 측정하는 화폐도 더 많이 필요하게 되는 것입니다. 따라서 통화 완화 정책, 확장 재정 정책의 상황에서 금 가격은 대체적으로 상승합니다.
금 가격 변동 | 물가 | 금리 |
금 상승 | 상승 할 때 | 하락할 때 |
금 하락 | 하락할 때 | 상승할 때 |
반대로 금리가 상승하는 상황, 특히 미국 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금 가격은 약세를 보입니다.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, 달러의 가치는 상승합니다. 그리고 상승한 달러의 가치로 측정되는 금의 가격은 자동으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. 따라서 금 투자를 하실 때에는 미국 금리와 더불어 물가의 변동 또한 주목하면서 금 투자에 대한 결정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주요 금 투자 ETF 정리: 국내 증시, 미국 증시
국내 증시에서 금 투자는 대표적으로 KODEX 골드선물(H), TIGER 골드선물(H) ETF를 통해 가능합니다. 수수료는 각각 KODEX 0.68% 수수료, TIGER 0.39%로 TIGER ETF가 조금 더 저렴합니다.
미국 증시에서 대표적인 금 ETF로는 GLD가 있습니다. GLD는 미국 증시 금 ETF 중 가장 많은 운용 자산을 가지고 있습니다. 다만 금 ETF 중에서는 운용 보수가 0.4%로 높은 편입니다. GLD 다음으로 운용자산 순서대로 ETF를 알아보면 IAU, GLDM, SGOL 가 있습니다. 각 ETF의 운용 자산 규모와 운용 보수는 밑의 표로 정리해놓겠습니다.
금 투자 ETF | 운용 자산 규모 (2022년 2월 18일 기준) | 수수료 |
GLD | 약 74.1조 원 | 0.4% |
IAU | 약 36.1 조원 | 0.25% |
GLDM | 약 5.4조 원 | 0.18% |
SGOL | 약 3.07조 원 | 0.17% |
금 투자할 때 ETF 보다 세금 아끼는 투자 방법
금 ETF, 금 주식을 투자하고 차익을 통해 많은 이익을 봤다면 양도소득세 등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 물론 아주 많은 이익이 있어야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 그러나 해외 주식의 경우 차익이 250만 원이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22%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.
그러나 금 투자에서는 이 세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KRX 금 통장을 통해 금에 투자하는 방법으로, 금 투자하실 때 ETF도 좋지만 KRX를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.
금 ETF, 금 통장, KRX 거래소 금 투자 방법 정리
금 투자는 대표적으로 현금의 가치가 하락하거나 인플레이션의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습니다. 금 투자 방법으로는 실물 금 구매, 금 펀드, 금 ETF 매수, 금 통장 개설 후 투자, KRX 금시장을 통한 거
good-living.tistory.com
KRX에서 금 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세제 혜택을 주는 거래방식이기 때문에 금 투자할 때 참고해볼 만하며,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제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튬 투자 개별 종목과 ETF 소개 (미국 주식) (0) | 2022.03.04 |
---|---|
니켈 관련 미국 증시 ETF 3개를 정리해보았다. (0) | 2022.03.03 |
ESG 의미와 국내, 미국 ESG ETF 리스트 정리 (0) | 2022.02.21 |
금리 상승기 투자 전략: 미국채 인버스 투자 ETF 3개 정리 (0) | 2022.02.16 |
중국 CSI 300 지수 소개와 CSI 300에 투자하는 ETF 정리 (0) | 2022.02.13 |
댓글